<화순>의 도전과 실험-2 뮤지컬의 공식

흔히 뮤지컬은 스타 마케팅, 화려한 볼거리, 로맨스와 같은 환상의 제공 등을 꼽습니다만, <화순> 은 전혀 반대의 선택을 합니다.

집단이 주인공

대개 뮤지컬의 스토리는 어떤 "주인공"의 이야기를 축으로 하여 전개됩니다. 그래야 관객의 감정이입도 쉽고, 플롯도 단순해져서 음악을 결합시키기도 좋습니다. 그런데 <화순>은 어떤 특정한 주인공이 없습니다. 굳이 주인공이 있다면, 화순탄광촌 사람들, 그러니까 집단 전체가 주인공인 셈입니다. 극은 현실세계의 반영이라는 측면에서, 현실에는 분명히 탁월하거나 비범한 사람들도 있으며 그들이 세계를 주도할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화순>은 집단을 주인공으로 설정해보고 싶었습니다.  말하자면 집단적 주인공인 셈인데,  여기에는 이런 믿음이 깔려있습니다. "백성이, 시민이, 민중이 주인이다."

관습이냐 역사냐

대개의 공연은 후반부로 갈수록 뭔가 커집니다. 갈등과 사건의  크기도 그렇고 규모와 볼거리도 그렇습니다. 앞에서부터 쌓아올린 갈등이 폭발하는 점에서도 그렇지만,  그래야 끝까지 볼 재미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화순>은 정반대입니다. 후반부로 갈수록 모든 것이 줄어들고 사라져 갑니다. 소재로 삼은 1946년 화순탄광 사건이 그랬기 때문입니다. 자꾸 죽고, 끌려가고, 도망갔습니다. 그럴때마다 마을에는 침묵이 퍼져갔습니다. 사실을 따르자니 겁이 났습니다. 100분짜리 공연인데, 통상 뒤로 갈수록 커져도 지루해지기 십상인데, 뒤로 갈수록 줄어들고 사라지게 한다? 별 것 아닐 수 있어보여도, 창작자들에게 이것은 어떤 모험이었습니다. 예, 결국  관습보다는 사실을 따르기로 했습니다. 가슴 아프지만, 그것이 우리의  역사니까요.

민감한 소재

창작뮤지컬도 만나기 어렵지만, 역사 뮤지컬은 더욱 희귀합니다. 로맨틱 뮤지컬에 비해 관객은 적고, 인원은 많이 필요하기 때문일겁니다. 그러나 꼭 필요하고도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더구나 요즘처럼 역사왜곡이 횡행하는 시대에는 더욱 그러합니다. 특히 화순탄광사건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역사의 한 장면입니다. 충격적인 사건임에도 묻혀져 있던 것은 기록도 크게 부족하지만, 특히 해방군으로 여겼던 미국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오늘까지 이어오고 있기 때문이라 짐작합니다. 어쩌면 뮤지컬 화순은 전에 없이 가장 민감한 소재를 형상화한 작품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Recent posts